• HOME
  • 의정활동
  • 의정활동 영상
  • 정례회 영상
  • 블로그
  • 유튜브
  • 화면 인쇄

정례회 영상

의회홍보 영상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유튜브, 내용으로 구성
제338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 20241120 이응주 의원 구정질문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4-12-05 21:16:29 조회수 275
유튜브
내용
○이응주 의원 존경하고 사랑하는 종로구민 여러분! 청운효자동, 사직동, 무악동, 교남동 지역구 이응주 의원입니다. 종로구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것들이 참 많습니다. 본 의원은 오늘 그중 하나인 종로구 한옥 건축자재 재활용은행의 효율적인 운영 계획에 대하여 구정질문을 하겠습니다.

보다 살기 좋은 종로, 보다 행복한 종로를 위해 열정적으로 일하고 계시는 정문헌 구청장님을 모시고 일문일답으로 진행하겠습니다. 한옥 건축자재 재활용은행은 2015년 2월 전국 최초로 종로구에서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굉장히 자랑스러운 일입니다. 구청장님! 잘 알고 계시죠?

○구청장 정문헌 예.

○이응주 의원 그러면서 본 의원은 우리 구의 한옥 건축자재 재활용은행을 우리 구민들이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최근 5년 동안의 행정자료를 살펴보았습니다. 2020년부터 현재까지 5년 동안 재활용은행을 운영하기 위한 용역비용 합계는 3억 2,300만원, 한옥 철거 및 운반비용 등으로 1억 1,400만원이 투입되어 총 4억 3,700만원의 예산이 지출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기간 동안 철거하여 확보한 기와, 서까래, 기둥 등의 자재를 판매한 건은 187건으로 판매수익은 3,70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예산 집행금액 대비 수입이 너무 적어 구비가 상당히 낭비되고 있는 것이죠. 청장님께서도 이같은 사항을 담당부서에서도 보고 받아서 알고 계시죠?

○구청장 정문헌 예, 알고 있습니다.

○이응주 의원 현재 한옥 건축자재 재활용은행은 신영동 120의 2 필지상에 위치하고 있는데 면적이 496㎡니까 약 150평의 구유지 대지에 지상2층에 가설 건축물로 지어졌고, 2014년 준공 당시 시비 총 2억 2,300만원이 투입이 되었습니다.

이 재활용은행에는 현재 기준 서까래를 받치기 위한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인 도리 486개, 지붕 위에서 지붕 위의 무게를 전달해주는 나무인 보 205개, 지붕에 기와나 이엉을 얹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배치하는 나무인 서까래 1,042개 등 총 2,900여 개의 자재가 보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많은 한옥 건축자재가 보관되어 있음에도 구민들이 한옥을 신축하거나 보수할 때 재활용은행을 잘 활용하지 않는 이유가 청장님은 혹시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구청장 정문헌 현재 건축을 하시는 분들이 구 자재를 사용하겠다는 분들이 안 계시고, 구 자재를 사용하기가 지금 새로 신축하는 한옥에도 그렇게 그다지 딱 적합하지를 않은 거 같습니다.

○이응주 의원 예, 맞습니다. 본 의원이 의정활동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온 분야가 바로 한옥인데요 한옥은 신축이나 보수하기가 수월하지 않은 건축물로 한옥 건축자재의 가격도 상당히 비쌉니다. 그래서 한옥을 신축하려 하거나 보수하려는 주민들을 만나면 본 의원은 우리 종로구 한옥 건축자재 재활용은행을 소개해 왔습니다.

그런데 주민들은 재활용은행에 보관된 자재를 사용하려면 벌레 먹은 부분이나 색깔이 변색된 부분, 크기와 형태가 다른 부분 등은 목수 등을 통해 다시 다듬어서 사용해야 하는데 그 가공비용이 새로 구입하는 자재비용보다 더 많이 소요되어 재활용은행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우리 구에서 청진정 등 전통정자를 지으며 활용한 건축자재도 일부에 불과하였고 대부분 새로운 자재를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올 2월 2024년 3월 29일 재활용은행을 운영하기 위한 3년간의 용역계약을 체결하여 올해 지출금액을 제외하고도 2025년 9,980만원, 2026년에는 1억 370만원의 지출이 예상됩니다.

구청장님! 그렇지 않아도 구의 재정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데 재활용은행을 계속 운영해야 할까요? 아니면 150평이나 되는 구유지가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않고 어찌 보면 저기 화면 속에 기와들같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봐도 재활용하고 싶지 않은 폐기물 보관창고로 전락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어떤 계획을 가지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구청장 정문헌 현재 구청의 계획은 한옥 건축자재 재활용은행이 전혀 기능을 하지 못한다고 판단을 하고 있는 전제하에서 지금 그리 판단하고 있습니다. 의원님께서도 말씀하신 바와 같이 지금 현재 우리가 2023년 말로 목재 2,675개, 기와 2만 4,262개 이상, 석재가 165개를 갖고 있으나 이게 다 지금 현재 건축하기에는 규격도 맞지 않고, 아까 의원님 지적하신 것처럼 규격에 맞게 쓰려면 거기에 재료를 다듬는 비용도 너무 오래 많이 들고 해서 이게 지금 우리 지금 재활용은행이 기능하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해서 향후 계획은 현재 기와에 대해서는 좀 익선동에 저희 지금 젊은 친구들 많이, 젊은 분들 많이 오는 거리의 지붕을 보면 이게 기완데 좀 플라스틱 기와 형태로, 기와도 워낙 비싸기 때문에 조금 경관상 보기 안 좋은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건축하는 비용은 못 드리지만 그쪽에 만약에 기와를 있는 기와를 교체를 하시든지 아니면 익선동 같이 플라스틱 기와를 교체를 하시겠다는 분들이 계시다면 기와는 지금 무료로 다 빨리 제공을 해서 있는 재고를 지금 소진하는 방법을 채택을 하고 있고요.

그리고 목재 부분은 일단 빠른 시일 안에 저기 흰개미 방충을 할 예정입니다, 일단. 흰개미 방충을 하고 하여튼 좀 이 부분도 적극적으로 좀 표현이 적합한지 모르겠지만 뿌려서 빨리 소진을 시키고 빨리 소진을 시킨 다음에 2026년도 지금 7월로 예정되어 있는 청소년센터 착공식에 맞춰서는 2025년도에 재활용은행을 폐기하고 2026년도에 철거를 해서 이 부지를 좀 어린이들이 활용할 수 있는 부지나 뭐 물론 다른 또 지금 계획대로 가면서 중간중간 의회랑도 우리가 숙의를 해야 되고 논의를 거치고 또 주민들의 의견을 좀 수렴해야 되는 과정을 겪어야 되겠지만 지금 생각으로는 지금 결정된 거는 아닙니다.

○이응주 의원 예.

○구청장 정문헌 지금 생각으로는 어린이 관련 시설로 놀이터도 좋고 어떤 시설이든 좋고 좀 만들어가는 게 옳은 방향이 아닐까 판단을 하고 지금 저희가 좀 구체적으로 지금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이응주 의원 예, 조금 전에 그렇게 답변해주신 것처럼 그에 부가해서 획기적인 방안을 좀 마련해 주시기 바라고요.

○구청장 정문헌 예.

○이응주 의원 구민의 혈세가 새고 있다면 검증을 철저히 해서 반드시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만 반입하거나 공공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규모 운영이 필요한 것은 아닌지, 아니면 한옥 전문 건축 전문가와 상의해서 재활용은행의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닌지 검토해 주시고

○구청장 정문헌 저희는 현재 필요가 없는 걸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응주 의원 예.

○구청장 정문헌 그 부분은 나름 전문가들이랑 상의를 거친 부분입니다.

○이응주 의원 예, 감사합니다. 상세하게 답변해주신 청장님을 비롯하여 경청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